Ⅰ. 인용방법 | |||
1. | 본문 문장 중에 저자의 이름을 언급한 경우는 다음의 원칙을 따른다. | ||
1) | 저자의 이름 뒤 괄호 안에 발행연도를 제시한다. 저자명은 국문으로 작성된 문헌의 경우 성과 이름을 모두 기입하고, 영문으로 작성된 문헌의 저자명은 성(last name)만 기입힌다. 저자명과 괄호 사이에는 국문과 영문 모두 칸을 띄지 않는다. | ||
| 예1) | 이노을(2017)은 한국가족을 .... | |
| 예2) | Boss(2019)가 제시한 것과 같이,... | |
2) | 저자가 2인인 경우, 국문 문헌은 제1저자의 이름과 제2저자의 이름 사이에 ‘과’나 ‘와’를 넣는다. 영문 문헌은 제1저자의 성(last name)과 제2저자의 성(last name) 사이에 ‘and’를 넣는다. | ||
| 예1) | 김건강과 이행복(2020)에 따르면 ... | |
| 예2) | Koh and Doherty(2018)는... | |
3) |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, 국문 문헌은 제1저자의 이름만 적고 한 칸을 띄운 뒤에 ‘외’를 붙인다. 영문 문헌은 제1저자의 성(last name)만 적고 뒤에 ‘et al.’을 붙인다. 이 때 et al.은 이탤릭체가 아니며 al 뒤에는 온점(.)을 붙인다. | ||
| 예1) | 박가을 외(2016)는... | |
| 예2) | Bogenschneider et al.(2015)은... | |
4) | 저자가 3인 이상이면서 제1저자와 출판년도가 동일한 경우, 구분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저자를 명시한다. | ||
| 예1) | 문헌 A의 저자는 박가을, 조겨울, 김봄, 한여름(2016)이고 문헌 B의 저자는 박가을, 조겨울, 강바다(2016)인 경우 제3저자부터 차이가 있으므로 제3저자까지 제시한다. 박가을, 조겨울, 김봄 외(2016)에 의하면... 박가을, 조겨울, 강바다(2016)의 연구에서는... | |
5) | 저자와 출판년도가 모두 동일한 문헌일 경우, 참고문헌에 정리된 순서에 따라 a, b, c 등을 기입하여 구분한다. | ||
| 예1) | 조겨울(2020a, 2020b) | |
2. | 본문 문장 중에 저자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경우는 내각주 형태로 출처를 표기하며 다음의 원칙을 따른다. | ||
1) | 인용하는 문헌의 저자의 이름과 발행연도를 모두 괄호 안에 제시하되, 저자 이름 뒤에 쉼표(,)를 넣고 한 칸 띄운 후 발행연도를 제시한다. 저자명은 국문으로 작성된 문헌의 경우 성과 이름을 모두 기입하고, 영문으로 작성된 문헌의 저자명은 성(last name)만 기입한다. | ||
| 예1) | 최근의 연구(이행복, 2019)에 따르면 ... | |
| 예2) | ....으로 주목받고 있다(Darling, 2020). | |
2) | 2편 이상의 문헌을 괄호 안에 함께 인용할 경우, 문헌과 문헌 사이에는 세미콜론(;)을 삽입하고 세미콜론 뒤는 한 칸 띄운다. 국문 문헌을 먼저 제시하고 영문 문헌을 제시한다. 국문 문헌은 제1저자의 이름을 기준으로 가나다순으로 한다. 영문 문헌은 제1저자의 이름 중 성(last name)을 기준으로 나열하고, 제1저자의 성이 같으면 이름(first name)을 기준으로 한다. | ||
| 예1) | 대부분의 선행연구는(김사랑, 2016; 박하랑, 2015; Anderson, 2010; Myers, 2020)... | |
3) | 피인용 문헌의 저자가 2인인 경우, 국문 문헌은 제1저자의 이름과 제2저자의 이름 사이에 쉼표(,)를 넣는다. 영문 문헌은 제1저자의 성(last name)과 제2저자의 성(last name) 사이에 ‘&’를 넣으며 쉼표(,)는 넣지 않는다. | ||
| 예1) | ...라고 주장하였다(박하늘, 최바다, 2018). | |
| 예2) | ...를 살펴본 선행연구(Bauer & Anderson, 2010)를 토대로... | |
4) | 피인용 문헌의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, 국문 문헌은 제1저자의 이름만 적고 한 칸을 띄운 뒤에 ‘외’를 붙인다. 영문 문헌은 제1저자의 성(last name)만 적고 뒤에 ‘et al.’을 붙인다. 이 때 et al.은 이탤릭체가 아니며 al 뒤에는 온점(.)를 붙인다. | ||
| 예1) | ...를 분석한 선행연구(박가을 외, 2016; Bogenschneider et al., 2015)에 따르면... | |
| 예2)
| [저자가 3인 이상인 문헌을 인용할 때] ...를 분석한 선행연구(박가을 외, 2016; Bogenschneider et al., 2015)에 따르면... | |
3. | 발행예정인 문헌을 인용할 경우, 국문 문헌은 ‘게재예정’으로 영문 문헌은 ‘in press’라고 기재한다. | ||
| 예1) | 남단비(게재예정)의 연구와 같이 ... | |
| 예2) | 최근의 선행연구(최여름, 게재예정; Braun, in press)에 따르면 ... | |
4. | 재인용을 할 경우, 원저 저자명, 인용한 문헌의 저자명, 출판연도를 표기하고 ‘재인용’이라고 명시한다. 참고문헌 목록에는 인용한 문헌만 제시한다. | ||
| 예1) | (Freud, 1958, 박가을, 2019에서 재인용) | |
5. | 한 편의 문헌에서 연속된 4어절 이상을 그대로 인용할 경우(직접 인용), 인용된 부분을 작은 따옴표(‘ ’) 안에 넣고 피인용 문헌의 페이지를 밝힌다. 한 페이지의 내용을 인용할 때는 ‘p.’라고 한 후 한 칸 띄고 페이지 번호를 넣고, 두 페이지 이상의 내용을 인용할 때는 ‘pp.’를 사용한다. | ||
| 예1) | (차잎새, 2019, p. 31) | |
| 예2) | (Zimmerman, 1995, pp. 4-5) | |
6. | 이외의 인용방법은 APA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) Publication Manual 7판에 따른다. | ||
| |||
| |||
Ⅱ. 참고문헌 목록 작성방법 | |||
1. |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한 문헌만을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한다. 본문에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을 뒷부분의 참고문헌 목록에 나타나야 하며, 참고문헌에 기재된 모든 참고문헌은 본문에 표시되어야 한다. | ||
2. | 참고문헌은 국내문헌, 동양문헌, 서양문헌 순으로 기재한다. | ||
3. | 저자명의 가나다 및 알파벳 순으로 기재한다. 단, 한국어 및 영어 이외의 저자명은 괄호 속에 한글 또는 영문을 표기한다. 단, 같은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년도가 이른 순서대로 나열한다. | ||
4. | 한글 저자명은 성과 이름을 모두 표기하고 영어 저자명은 성(last name)을 먼저 제시하고 난 뒤 쉼표를 찍고 이름(first name)과 중간이름(middle name)의 이니셜을 차례로 표기한다. 각 이니셜 뒤에 온점(.)을 찍는다. | ||
5. | 참고문헌에서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나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. 한글 저자인 경우, 각 저자의 이름 사이를 ‘,(쉼표)’로 연결하여 모두 작성한다. 영문 저자인 경우, 마지막 저자의 이름 앞에 ‘&’를 넣으며, ‘&’ 앞에 쉼표(,)를 넣는다. 저자가 8명 이상인 경우, 예외적으로 6번째 저자명까지 표기한 뒤 쉼표와 간격을 둔 말줄임표를 제시하고(, . . .) 마지막 저자명을 표기한다. | ||
6. | 참고문헌 양식은 APA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) Publication Manual 7판을 따르며, 참고문헌 작성의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에 제시하였다. | ||
1) | 학술지 논문: 저자명(연도), 논문제목, 학술지명, 권(호), 면수 순으로 기재한다. 국내문헌의 학술지명, 권은 진하게 표기하고, 서양문헌의 학술지명, 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 호는 정자체로 표기한다. DOI(Digital Object Identifier)가 있는 경우 반드시 DOI를 표기하며, 이때 “http://doi.org/DOI넘버” 양식에 맞춰 표준화된 DOI 양식으로 제시한다. | ||
| 예1) | 박지수, 이진경, 이재림(2018). 국내 커플관계교육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과정 분석: 생활과학분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. 한국가족관계학회지, 22(4), 81-105. http://dx.doi.org/10.21321/jfr.22.4.81 | |
| 예2) | Sassler, S., & Lichter, D. T. (2020). Cohabitation and marriage: Complexity and diversity in union-formation patterns.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, 82(1), 35-61. https://doi.org/10.1111/jomf.12617 | |
2) | 단행본 : 저자명(연도), 저서명, 출판사 순으로 기재한다. 단행본명은 국내문헌은 진하게,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 | ||
| 예1) | 성미애, 이강이, 정현심(2019). 인간발달.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| |
| 예2) | Allen, K. R., & Henderson, A. C. (2017). Family theories: Foundations and applications. John Wiley & Sons. | |
3) | 단행본 챕터: 챕터저자명(연도), 챕터제목. 저서 편집자명, 저서명 (챕터 페이지), 출판사 순으로 기재한다. 저서명은 국내문헌은 진하게,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 | ||
| 예1) | Patterson, C. J., Farr, R. H., & Hastings, P. D. (2015).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family diversity. In J. E. Grusec, & P. D. Hastings (Eds.), Handbook of socialization: Theory and research (pp. 202–227). The Guilford Press. | |
4) | 학위논문: 국내문헌은 저자명(연도), 논문제목, 학교명, 학위명의 순으로 기재한다. 서양문헌은 저자명, 연도, 논문제목, 학위명, 학교명의 순으로 기재한다. 국내 학위논문의 제목은 진하게, 서양 학위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 | ||
| 예1) | 변주수(2017). 이혼법 개정과 이혼율 변동의 관계: 2000년 이후 이혼숙려제도 및 양육비부담조서 의무화 제도를 중심으로.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. | |
| 예2) | Ko, K. (2018).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divorce in East Asia.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. University of Missouri-Columbia. | |
5) | 연구보고서: 저자명(연도), 보고서 제목, 연구기관 순으로 기재한다. 보고서 제목은 국내문헌은 진하게, 서양문헌은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 | ||
| 예)
| 권미경, 문무경, 김영민(2019). 육아존중문화로의 패러다임 전환과 긍정적 육아문화 조성 방안 연구 (Ⅰ): 육아문화 분석과 과제. 육아정책연구소. | |
6) | 웹페이지: 저자/기관명(작성일). 제목. 웹사이트명. URL의 순으로 기재한다. 이때 제목의 경우 국내문헌은 진하게, 서양문헌은 이태릭체로 표기한다. 날짜가 없을 경우에는 날짜를 적는 부분에 no date를 의미하는 ‘n.d.’를 기재한다. | ||
| 예)
| 통계청(2020, 10, 14). 총 혼인건수 및 조혼인율 추이. http://www.index.go.kr/potal/main/EachDtlPageDetail.do?idx_cd=1580 | |
7) | 출판예정인 저술을 제시할 때는 출판년도 대신 국내문헌은 ‘발간예정’이라고 서양문헌은 ‘in press’라고 기재하고 출판될 예정인 학술지나 책의 이름을 명기한다. | ||
7. | 기타 사항은 APA Publication Manual 7판에 따른다. | ||
| |||